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삼원평론

환웅(桓熊)의 웅(熊)자를 되찾아야 한다.

현도학회 2005.02.26 12:48 조회 수 : 3164

환웅의 웅자를 되찾아야 한다.

단군신화에는 환웅(桓雄)이 등장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는 환웅의 웅자를 雄(웅:수컷)으로 써오고 있으나 이것에 대한 한자의 표기가 바뀌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글을 쓴다.

현재 쓰고 있는 환웅(桓雄)의 雄(웅)에도 '어른', '우두머리', '인걸' 의 뜻이 있어 의미가 맞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환웅시대를 비롯한 단군시대에는 뭇 종족 중에서 머리가 가장 밝은 이를 뽑고 그 중에서도 가장 밝은 이가 임금으로 선출되어 나라를 다스렸다고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환웅은 우두머리라는 차원보다는 가장 밝다는 의미의 단어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현재 환웅(桓雄)이라고 쓰여지는 한자의 표기는 환웅(桓熊)으로 표기하는 것의 본래의 표기라고 여겨진다.

熊(웅)자는 곰이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다른 의미로 '밝다','빛나다' 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선명하게 빛나는 모양을 나타낼때 熊熊(웅웅)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글자를 파자하여 보아도 能(능:능하다)와 火(화:불)의 합자로 능력이 밝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웅(熊)이다.

또한 환웅의 桓(환)자는 현재의 사전적인 의미는 '크다' 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환웅(桓熊)은 크게 밝은 이를 뜻하는 단어가 된다.

그러나 이 환자(桓字)에 대해서도 조선시대 숙종2년에 북애노인(北崖老人)이 쓴 상고사 규원사화(揆園史話)에는 "桓者卽光明也(환자즉광명야)" [환이라는 것은 즉 광명이다] 라고 하여 환(桓)이라는 글자가 ‘밝음’을 뜻하는 글자라고 쓰고 있다. 그렇다면 환웅(桓熊)은 여러 종족의 밝은 이들 중에서 뽑은 밝고 밝은 이가 되므로 그 의미가 상통하게 된다.

수컷 웅(雄)자를 쓰는 것도 밝은 우두머리라 하여 의미가 맞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환웅(桓熊)의 선출방식이 여러 부족 중에서 가장 밝은 이를 뽑고 그중에서 가장 밝은 태웅(太熊)을 뽑아 환웅이 선출되었다면 그 표기의 한자를 환웅(桓熊)으로 표기하는 것이 옳은 것으로 여겨진다.

대수롭지 않은 것이라 여길 수도 있겠지만, 이 작은 것 하나에 따라 우리민족의 정체성이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본의 일장기 三元 2021.01.23 955
공지 천상에서 인간에게 내린 뇌화침법雷火鍼法 [1] 삼원회 2019.05.09 2133
공지 선도수행자仙道修行者의 호흡법呼吸法 삼원회 2016.02.11 5666
59 국회의사당의 담장을 허무는 것은 망국의 지름길 현도학회 2005.11.10 1975
58 태양이 빛을 잃고 때아닌 뇌성이 치는 것은... [3] 현도학회 2005.11.07 2788
57 정권의 볼모로 잡힌 국민의 먹거리 현도학회 2005.11.04 1583
56 일괄성 없는 정부의 개발정책 현도학회 2005.10.18 1757
55 태극기에 한반도의 분단이 예견? file 현도학회 2005.10.13 2976
54 見蚊拔劍(견문발검) 현도학회 2005.08.20 2400
53 북핵보다 위협적인 일본의 군비확장과 핵무장 현도학회 2005.08.03 1856
52 한반도 전쟁 시나리오의 가동 현도학회 2005.07.01 2650
51 日本과 未國은 韓國의 假想 敵國이다. 현도학회 2005.06.09 1922
50 鄧小平의 改革․開放 政策은 中國 最大의 失策이다. 현도학회 2004.08.27 1681
49 오성기(五星旗) file 현도학회 2005.04.30 4887
48 봉우 권태훈 옹의 소주천과 현빈일규 현도학회 2005.04.28 5511
47 삼원학회 게시판 글의 목적 현도학회 2005.03.23 4104
46 구봉과 이순신에 대한 다른 생각(벽오선생님 주장에 대해) 선동필 2005.03.22 3319
45 [답변] 그렇게 보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현도학회 2005.03.22 3534
44 봉우 권태훈 옹의 지리관 현도학회 2005.03.21 3875
43 봉우 권태훈 옹의 대주천 현도학회 2005.03.14 3942
42 이순신이 구봉 송익필의 제자인가? 현도학회 2005.03.14 5565
41 입산수행시에 겨울을 택하는 이유 현도학회 2005.03.08 2805
» 환웅(桓熊)의 웅(熊)자를 되찾아야 한다. 현도학회 2005.02.26 3164
위로